발코니 [balcony]
요약 : 건물 외부에 거실(居室)의 연장으로 달아내서 만든 서양건축의 노대(露臺)의하나.
지 붕이 없고 난간(欄干)을 둘러쳐진 것으로서, 보통2층 이상에 설치한다. 건물의 외관상으로 볼 때는 장식적 요소가 되며, 옛날에는 권력자가 군중 앞에 모습을 나타내는 최적의 장소가 되었다. 근래에 와서, 전용(專用) 정원이 없는 아파트 건축에서는 바깥 공기와 접하는 유일한 장소가 되고 있다. 즉, 거실의 연장으로서의 리빙 발코니는 유아(幼兒)의 놀이터·일광욕·휴식과 전망을 위한 공간으로, 부엌에 연결되는 서비스 발코니는 주방의 보조 공간(장독대나 세탁)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 식물의 재배 등으로 생활에 윤기를 주기도 한다.
난간은 대개 통풍·채광 등을 고려하여 쇠파이프나 주름 철망 등으로 만들지만 남의시선을 가려 프라이버시를 지키기 위해서 벽체(壁體)로 하는 경우도 있다. 난간의 높이는 안전상 1.1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배수(排水)가 잘되고 오수(汚水)가 아래층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주거뿐만 아니라 극장의 2층 이상의 좌석, 큰 배의 선미(船尾), 사무실·병원 등의 이와 비슷한 구조도 발코니라고 한다.

베란다 [Veranda]
요약 : 건축물의 일부로서 보통1~2층의 면적차로 생긴 바닥 중의 일부, 또는1층 정원에 면한 지붕과 난간이 붙은 바닥 부분.
옥 외라기보다는 옥내의 양지바른 남향에 위치하며, 여름에는 시원하게 할 수 있는 테라스 형식과 위층 부분이나 창 앞에 넓게 내밀어 꾸민 바닥으로 위층에서 출입할 수 있는 발코니 형식이 있다. 이것은 한국 주택의 정원에 면한 툇마루의 구실과 같으며, 휴식·일광욕 등을 위해서 설치되기도 한다.

아케이드[ Arcade ]
열주(列柱)에 의해 지탱되는 아치군(群)과 그것이 조성하는 개방된 통로 공간.
로마시대에는 규모가 큰 것이 많았으며, 콜로세움이나 폼페이의 유적에서 그 대표적인 예를 볼 수 있다. 또 중세의 교회 건축이나 사원의 회랑(回廊) 등에 훌륭한 아케이드가 있다.
그러나 현재는 아치와 관계없이 상점가(商店街) 등의 보도 위에 날씨에 구애됨이 없이 쇼핑할 수 있도록 차양·비막이를 위해 아치 모양으로 설치되는 노상시설(路上施設)을 아케이드라 하고 있다.

회랑 [回廊, Corridor]
사원(寺院)이나 궁전 건축에서 주요부분을 둘러싼 지붕이 있는 긴 복도.
보 랑(步廊) ·무랑(廊)이라고도 한다. 궁전·사원 등의 정전(正殿) ·금당(金堂) ·탑 등을 중심으로 중정(中庭)을 구획하거나 신성한 지역을 둘러싸기 위하여 설치한 집채로서 행사가 있을 때의 좌석이나 통로로도 사용된다. 흔히 바깥쪽은 벽이나 연자창을 만들고 안쪽은 기둥만 세워 개방하고 있다. 들보[樑] 사이는 한 칸[間]이 보통이며, 이것을 단랑(單廊)이라 하고, 두간으로 된 것(가운데 열주에 벽이나 창을 붙임)을 복랑(複廊)이라고 한다.
서유럽의 회랑에 해당되는 것에는 고대 이집트나 그리스·로마의 콜로네이드(colonnade)와 중세 수도원(수도회)의 네모꼴을 이루는 중정(中庭)을 둘러싼 클로이스터(cloister)가 있다. 전자의 유구(遺構)로는 이집트 제11왕조의 델 엘바하리 신전 중앙 피라미드를 둘러싼 콜로네이드가 있고, 이것이 그리스건축을 대표하는 주주식(周柱式) 신전 외부 열주랑(列柱廊)의 원형이다. 그리스에서는 그 밖에도 아고라에스토아라는 지붕이 붙은 기다란 콜로네이드의 보랑(步廊)을 볼수 있으며, 고대로마의 도시 광장 주변에도 햇빛을 가리기위한 콜로네이드가 배치되어 있었다. 수도원의 클로이스터는 수도사(修道士)의 명상·사색·독서와 관계가 깊은 생활 공간 이었으며, 오늘날에도 각지의 교회당·수도원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르네상스 이후에는 저택·성관(城館) ·궁전·공공건물 등의 장대한 건축을 한층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정원을 둘러싼 회랑의 형식이 활용 되었는데, G.베르니니가 설계한 로마의 성(聖)베드로 광장의 콜로네이드는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밖에도 광장을 둘러싼 아케이드로서의 회랑 형식이 있으며 베네치아의 성 마르코 광장, 런던의 코벤트 가든 광장, 파리의 보주 광장 등이 유명하다.

스토아 [Stoa]
고대 그리스 건축의 열주랑(列柱廊).
고대 그리스의 도시에는 아고라로 불리는 시민 생활의 공공 광장이 있었으며, 그곳에 신전·회의소·보고(寶庫) 등과 나란히 스토아로 불리는 독특한 주랑(柱廊:회랑)이 독립적으로 지어져 있었다. 한쪽의 주열(柱列)은 틔어있고 다른 한쪽의 주열 사이는 석조로 벽을 쌓는 것이 보통인데, 그 중에는 주열의 수를 늘려서 작은 방을 줄지어 만들어 놓은 예가 많다.
기후가 좋은 그리스에서는 시민이 옥외 생활을 많이 하기 때문에 아고라에 모여 스토아의 그늘에서 대화를 나누고 뉴스를 교환하며 정치를 논하였는데, 그것은 그리스의 민주정치를 지탱하는 잠재력이 되었다. 벽에는 벽화가 그려졌고 작은 방은 상점으로 시장 역할을 하였으며, 때로는 재판도 하였다. 스토아학파의 명칭은 아테네의 스토아 포이킬레에서 제논이 강의를 한데서 유래하며, 이것은 스토아가 어떻게 사용되었는가를 말해준다. 석주(石柱) 위에는 작은 목조 단층집이 많이 있으며, 그 중에는 이층으로 지은 것도 있다. BC 3세기 경부터 ㄴ자형 또는 ㄷ자형으로 지은 스토아가 이오니아 지방에 많이 나타났다.

파사드(Facade)
사전적 의미 : (건물의) 정면(front); (길에 접해 있는) 전면(前面), 겉보기, 외관, 허울
건축물의 전면을 말하며, 보통건물 정면현관이 있는 부분을 지칭한다.
고딕의 사원 등에서는 그 파사드를 장식하여 위엄을 강조하고 하나의 양식을 이루고 있다.
파사드는 내부공간구성을 단적으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지만 내부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파사드 디스플레이라 하면 건축의 정면에서 상점 전체의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쇼윈도의 위치, 출입구의 여분 공간, 자연광 조절 및 조명계획, 벽면간판과 돌출구 간판의 배치, 현수막의 설치, 주변경치의 조화 등이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아트리움 (Atrium)
사전적 의미 : (로마 건축의) 중앙 홀; 안뜰
고대 로마건축에 있어서 바닥에는 빗물을 받는 작은 연못이 있고, 천정으로 빛이 들어오도록 천장이 달린 넓은 실내공간을 말한다.
현대건축에는 대형건물의 중심 공간 설계기법으로 응용되어, 2층 이상 높이의 넓은 실내에 자연채광을 위한 유리천장을 갖추 인공적인 환경역할 담당.
상업공간은 물론 공공시설물내의 공간으로 활용되는 아트리움은 실내이면서도 외부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있는 특성 때문에 현대의 도시건축에서 크게 주목되는 수법이다.

'雜同散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로 만든 색상표- 재밌네요.  (0) 2010.01.27
창문의 종류  (0) 2010.01.20
머플러 매는 방법  (0) 2009.09.23
넥타이 매는 6가지 방법  (0) 2009.09.23
사랑받는 남편 15계명  (0) 2009.09.23
Posted by The 賢岩
,

Posted by The 賢岩
,

Posted by The 賢岩
,
1. 전등을 가는 일이나 못을 박는 일은 반드시 그대가 해라.
그렇지 않으면 남자구실 못한다는 욕을 잠자리에서도 듣게 될 것이다.

2. 아내가 TV를 보고 있을 때는 절대 다른 프로그램을 보겠다고 설치지 마라.
TV 시청의 채널 선택권에 대해서는 아내의 독점권을 인정해 주고, 오히려 입이 궁금할 아내를 위하여 말없이 오징어나 과일을 준비해라.
아내는 그대를 사랑스러운 남자로 생각할 것이고 그날 밤 바로 보상을 받을 것이다.

3. 어떠한 경우에도 첫사랑이나, 아내 이전에 만났던 여자 이야기를 입밖에 내지 마라.
그대가 잃을 것은 신뢰, 존경, 사랑이고 얻을 것이라곤 싸늘한 아내의 눈빛 뿐이다.

4. 아내가 식사를 준비할 때 식탁을 닦고 수저를 내고 밥을 퍼는 일을 해라. 가만히 앉아서 밥을 받아 먹는 파렴치한 행동을 하다가는 설거지통의 그릇 깨어지는 일이 잦을 것이다.

5. 두시간 정도 전화로 수다를 떤다고 해서 아내를 결코 나무라지 마라.
수다는 아내의 오랜 취미이자 일종의 사회활동이다.
만일 아내가 취미와 사회활동을 제대로 못한다면 그 스트레스는 전부 잔소리로 그대에게 돌아갈 것이다.

6. 소변을 볼 때는 항상 양변기 씨트를 올리고 보고, 일을 본 후에는 꼭 씨트를 내려놓도록 해라.
부부가 싸우는 이유는 통일문제나 인권문제처럼 거창한 게 아니다.
남들에게 설명할 수 없는 사소한 것에서 다투고 헤어지기까지 하는 것이다.

7. 아내가 부를 때에는 스포츠 중계가 재미있고 신문 기사가 흥미롭더라도 한번에 바로 대답하고 아내 쪽을 바라보아라.
사근사근한 아내를 만드는 것도, 사나운 아내를 만드는 것도 다 그대에게 달려있다.

8. 아내가 <겨울연가> 같은 드라마를 보면서 울더라도 결코 한심한 눈으로 쳐다보거나 혀를 차지 마라.
조용히 곁에 앉아 티슈나 손수건을 건네 주어라.
아내는 최지우처럼 그대에게 안길 것이다. 설령 그대가 배용준이 아니더라도 말이다.

9. 냉장고 속의 일에 대해서는 결코 간섭하지 않는 것이 좋다.
냉장고는 아내의 일기장과 같다.
그곳을 들춰보거나 그 속에서 무언가가 변해가고 있다는 따위의 말은 아내에게 참을 수 없는 모욕을 주는 행위이다. 대판 부부싸움은 물론이고 이혼까지도 감수해야 할지 모른다.

10. 아내가 해주는 밥은 무조건 맛있게 먹고 또 남기지 않도록 해라.
설사 조금 맛이 없더라도 칭찬을 잊지 마라.
칭찬이란, 하는 쪽에서는 지루한 형식에 불과할지라도 듣는 쪽에서는 늘 새로운 기쁨이다.
더 잘하고 싶게 만드는 동기는 핀잔이나 지적이 아니라 칭찬이란 사실을 명심해라.

11. 노파심에서 덧붙이는 말이지만 싸움을 심하게 하더라도 절대 아내를 때리지 마라.
힘으로나 깡으로나 강하고 독한 것은 여자지 남자가 아니다.

12. 만일 대판 싸웠다면 빨리 화해하는 일에 그대의 모든 물질적 인적 역량을 동원해라.
불화가 오래 갈수록 고생하고 상처 받는 쪽은 결국 그대다.

13. 아이가 태어나거든 육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해라.
밤에 아이가 울거든 그대가 먼저 일어나 아이를 돌보아라.
육아를 하지 않는 남자를 아버지라고 부르지 않는다.

14. 아내가 아이들에게 심하게 야단을 치거나 간혹 체벌을 가하더라도 그 일로 다투지 마라.
아이를 사랑하는 일에 그대가 아내를 따라갈 수는 없을 것이다.
교육적으로 그러는 것이고 그것도 그대를 대신해서 맡은 악역일 뿐이다.

15. 마지막으로 다시 한번 결혼에 대해서 심각하고 진지하게 생각해보아라.
혹시 무를 수 있다면 지금이라도 무르는 것이 좋다.
위의 모든 것을 생활 속에서 실천으로 옮길 자신이 없다면 말이다.

Posted by The 賢岩
,